본문 바로가기

강의/작품/정보/자동차 IT

‘거품’많은 스마트폰..이젠 ‘반값’에 산다


이르면 5월께 대형마트에서 '반값 스마트폰'을 선보일 것으로 보인다. 내놓기만 하면 순식간에 다 나간다는 반값 제품 열풍이 스마트폰으로 확산될 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된다.

 9일 스마트폰 업계에 따르면 오는 5월 방송통신위원회의 휴대폰 '블랙리스트 제도' 도입을 앞두고 대형마트를 비롯한 유통업계가 스마트폰 유통을 위해 제조사들과 활발히 접촉하고 있다. 한 스마트폰 제조사 마케팅 담당자는 "이마트, 하이마트를 비롯한 유통점에서 스마트폰 직접 유통 의사를 밝히며 활발히 연락을 취해오고 있다"며 "아직은 판매이윤에 대한 이견이 있지만 관심을 갖고 논의를 지속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최근 주요 스마트폰의 출고가격은 70만~90만원 정도인데, 이 가격에 '거품'이 있다는 지적이 많다. 대형마트들이 제조사들에 적정 이윤을 보장해주면서 출고가격을 현실화할 수 있다면 '반값 스마트폰'이 현실화될 수 있다는 게 업계의 관측이다.

 특히 한국시장 진출을 노리고 있는 화웨이.ZTE 등 중국 휴대폰 제조사들도 블랙리스트 제도와 일반 유통업체들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들은 50만원 이하 저가 스마트폰을 주로 파는데, 국내 이동통신 업계에 발을 들여놓기엔 브랜드와 보조금 면에서 장벽이 있었다. 싼 가격에 스마트폰을 직접 유통할 수 있는 블랙리스트 제도가 이 벽을 허물어줄 수 있다.

 중국계 한 스마트폰 제조사 관계자는 "대형 유통업체들과 만나 관련 논의를 하고 있는 건 사실"이라며 "아직 시장진출 시점을 정한 건 아니지만 빠르면 빠를수록 좋다는 생각으로 전담팀에서 전략을 짜고 있다"고 귀띔했다.

 그동안 국내 휴대폰 유통은 이동통신회사가 휴대폰의 고유식별번호(IMEI)를 등록.관리해 왔다. 5월 도입되는 블랙리스트 제도는 IMEI번호를 이동통신회사에 등록하지 않고 일반 유통점에서 사고팔 수 있도록 하는 대신, 분실·도난 제품 등 문제가 있는 휴대폰의 IMEI만 이동통신회사에 등록하도록 바꾼 제도를 말한다.

 쉽게 말해 지금은 이동통신사 대리점에서 휴대폰을 사지만 앞으로는 대형마트를 비롯한 어느 곳에서든 맘에 드는 휴대폰을 사고 이동통신사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기사원문

휴대폰 블랙리스트 앞두고 대리점 ‘고민’..왜?

오는 5월 휴대폰 블랙리스트 제도 시행을 앞두고 그 동안 휴대폰 구매 주요 창구였던 대리점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휴대폰 개통을 통해 수익을 창출했던 대리점들의 수익 하락이 불 보듯 뻔하기 때문이다. 보조금, 약정할인 등 복잡한 휴대폰 판매 구조상 블랙리스트 제도가 제대로 자리 잡을 수 있을 지 의문이다.

13일 서울 마포구 홍익대학교 근처에서 휴대폰 판매점을 운영 중인 정 모씨(37세)를 만나 블랙리스트제도 운용에 대해 묻자 그는 블랙리스트 제도 시행을 앞두고 고민이 깊다고 말했다. 블랙리스트 제도가 시행되면 제조사들이 자신들의 유통망을 통해 휴대폰을 판매할 수 있게 되는데, 이렇게 되면 당연히 기존 대리점이나 판매점의 매출은 떨어지게 마련이기 때문이다.

블랙리스트 제도가 시행되면 제조사들은 휴대폰 판매율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전략을 구사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존 이통사들이 제공하던 보조금이나 약정할인 혜택이 없는 대신 자사의 다른 제품과 묶어 저렴하게 판매하는 등 상품 구성을 다양화할 가능성이 많다.

정 모씨는 "롱텀에볼루션(LTE)이 돌풍이라고 하지만 이미 대한민국에 휴대폰이 없는 사람은 드물기 때문에 개통 실적은 점점 떨어지거나 제자리 걸음"이라며 "새학기 시즌 등 1년에 1~2개 시기를 제외하고 휴대폰 판매 실적은 최악인데, 유통점 밥줄이 끊어지는 제도들이 시행된다니 걱정이 이만 저만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대리점들은 신규 고객을 유치하는 방식으로 수익을 내고 있다. 블랙리스트 제도가 시행되면 이용자들은 일반 가전 대리점 등지에서 휴대폰을 구입한 뒤 이용하던 유심(가입자 식별카드; USIM)칩을 바뀌 끼는 것으로 개통이 가능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대리점의 개통 고객수는 줄어들게 마련이다.

전국 대리점 숫자는 SK텔레콤 약 2800개, KT 약 3000개, LG U+약 2000개 정도이다. 여기에 이동통신 3사의 제품을 모두 취급하는 판매점 숫자는 약 2만5000개에서 3만개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된다. 이들 매장에 평균 5명이 근무한다고 가정해도 약 15만명 이상이 관련 업계에 발을 대딛고 있는 셈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대리점이나 판매점들이 블랙리스트 제도 시행을 앞두고 구체적인 대비책을 마련하지 못한 상황이다. 일단 제도 시행까지 약 3개월의 여유가 있는 데다 시장에 어떻게 자리잡을 지 예측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서울 서대문구 신촌 인근에서 휴대폰 판매점을 운영하는 박 모씨(42세)는 "블랙리스트 제도 얘기는 들었는데, 아직은 별다른 대비는 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제도가 제대로 자리잡을 수 있을 지 의구심을 갖기도 했다. 국내 이동통신 요금제는 매우 복잡하다. 보조금, 약정할인 등 쉽게 이해하기 어려운 구조로 돼 있어 대리점에서 근무하는 전문가들이 수차례 설명을 해줘야 어느 정도 수긍할 수 있는 수준이다. 뿐만 아니라 단말기 대금을 전액 내고 구매해야 하기 때문에 고가 단말기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우리나라 특성상 활성화 가능성에 회의적인 시각도 많다.

박 모씨는 "대리점이 판매점의 직원들은 통신사 요금 구조에 대해 통신사 직원보다 더 잘 알고 있기 때문에 이런 곳에서 휴대폰을 구매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이라며 "또 블랙리스트 제도가 시행되면 소비자들이 고가의 단말기를 약정할인 없이 구매해야 하는데, 수 십만원의 비용을 한번에 낼 사람이 얼마나 될 지 모르겠다"며 부정적인 견해를 밝혔다.

>>기사원문